본문 바로가기

구매조건부4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의 계약서 관련 문의 정리 필자가 운영하는 블로그를 통해 많은 문의가 들어오는데,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에 관련한 것이 그중 하나다. 아마 앞선 포스팅 중에 관련 글이 있어서라도 생각된다. 구매조건부 과제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과제로, 일종의 기술개발(R&D) 과제 중 하나다. 구매조건부 과제와 다른 과제와의 차이점은 개발기술을 수요처에 제안하여 ‘구매 동의서’ 또는 ‘구매 계약서’를 받아 지원한다는 것이다. 구매조건부와 관련해서 들어오는 문의는 대부분 이 계약서 혹은 동의서와 관련된 것이 많다. 필자가 받은 문의와 그에 대해 답변한 내용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했다. 1. 구매동의서만 받아와도 상관없나요? 과제 공고에는 구매동의서만 받아와도 신청이 되는 것으로 표현이 되어 있다. 물론 과제 신청이 가능은 하다. 하지만 분명.. 2023. 5. 22.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관련 문의 정리 글을 쓰거나 업체들과 대화하면서 예시로 많이 드는 과제라서 그런지, 구매조건부 과제에 대해서는 질문이 많이 들어오는 편이다. 문의에 대한 대부분의 답은 과제 공고나 규정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다. 물론 처음 정부과제를 접하는 사람들은 어려울 수도 있다. 아래에는 초심자가 답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되거나, 혹은 여러번 문의를 받았던 것들을 정리했다. 1. 구매동의서만 받아 오면 과제 신청이 되나요? 과제 공고에는 수요처로부터 ‘구매동의서’ 또는 ‘구매계약서’를 받아오면 과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되도록이면 구매동의서보다는 구매계약서를 받아 제출하도록 하자. 단순히 ‘개발 제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정도의 정보만 적힌 구매동의서와는 달리 구매계약서에는 납기일자, 품목 및 사양, 구매 금액 등.. 2022. 3. 16.
해외 기업과 함께 할만한 과제[구매조건부 과제-해외수요처] 구매조건부 과제는 방식이나 수요처 종류에 따라 몇 가지 분야로 나뉘게 된다. 방식에서는 수요처가 필요로 하는 기술 또는 제품을 개발하는 '지정공모'와, 중소기업이 자체 아이디어와 개발기술을 수요처에 제안하는 '자유응모'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수요처에서는 크게 '국내수요처'와 '해외수요처'의 두 가지로 나뉘게 된다. 단어 그대로 수요처가 국내에 있는지, 혹은 해외에 있는지를 구분한 것이다. 우리가 말하는 구매조건부 과제란 일반적으로 국내 수요처를 대상으로 하는 것을 뜻한다. 하지만 해외수요처를 대상으로 하는 과제 역시 살펴볼만하다. 내용의 대부분은 앞서 소개한 '초기기업이 시작하기 좋은 정부 과제 [구매조건부 과제]' 글과 큰 차이가 없지만, 해외 수요처 과제의 경우 몇 가지 더 신경 쓸 것이 있다.. 2021. 3. 2.
초기기업이 시작하기 좋은 정부 과제 [구매조건부 과제] 구매조건부 과제는 수요처의 구매 수요가 있는 구매연계 R&D를 지원하여 가치사슬의 경쟁력 확보 및 안정적인 수익 창출 기반의 마련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다. 좀 더 쉽게 표현하자면, 구매할 수요처가 정해져 있는 상태에서, 개발할 제품의 연구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사업이다. 이 과제를 추천하는 가장 큰 이유는, 특정 조건만 갖춘다면, 선정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 때문이다. 반면에 아무나 이 과제를 신청하기 어렵기도 하다. 구매조건부과제에 대해 알아둘 점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1. 구매동의서 또는 구매계약서를 필요로 함 과제 이름 그대로 수요처의 구매를 조건으로 하는 사업이다. 수요처가 구매를 하겠다는 것을 문서로 약속하기 위해 구매동의서 또는 구매계약서를 제출해야 한다. 이것은 아무나 과제를 신청하기.. 2020.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