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후관리3

기업부설연구소 관련 문의 정리 블로그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문의가 많이 들어오는 편인데, 기업부설연구소와 관련해서는 최근 그 수가 많이 늘었다. 재밌게도 정부과제와 연관된 문의보다는, 세제 혜택과 관련하여 궁금해하는 부분이 더 많다. 기업부설연구소와 관련해서는 워낙에 광고가 많아, 단순히 검색사이트를 통하기보다는 기업부설연구소를 신청하고 관리하는 ‘기업부설연구/전담부서 신고관리시스템’에서 정보를 얻기는 권하는 편이다. 이번에는 여러 차례 받았던 기업부설연구소 관련 문의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해 봤다. 1. 기업부설연구소와 연구개발전담부서의 차이가 뭔가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반적인 기준에서는 차이가 없다. 두 종류의 연구소를 설립하는 데 있어서 차이는 전담연구원의 숫자만 차이가 있고, 그 혜택(특히 세제와 관련해서)에서는 동일하다. .. 2023. 7. 14.
기업부설연구소의 사후관리 개요 기업부설연구소/연구개발전담부서는 설립했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 자동차와 비교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자동차를 사고 나면, 이를 잘 타고 다니기 위해서 관리를 해줘야 할 것이다. 엔진 오일도 갈고, 때로는 정비도 하고 혹은 문제가 없는지 자주 확인도 한다. 그래야 오래 또 잘 타고 다닐 수 있지 않은가? 기업부설연구소 역시 마찬가지다. 막상 연구소를 설립하는 것은 인적/물적 요건만 갖춰졌다면 쉽게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를 얼마나 잘 관리하는지, 또 얼마나 잘 이용하는지라고 할 수 있겠다. 굳이 정의하자면, 기업부설연구소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 방법을 사후관리라고 한다. 1. 기업부설연구소의 사후관리란? 검색사이트에 ‘기업부설연구소’ 또는 ‘연구소 사후관리’ 등에 대해 검색하면 수많은 업체들이 광고를 하.. 2023. 6. 28.
기업부설연구소 설립은 왜 하는가 지난 2021년 포스팅 이후로 기업부설연구소 설립에 대한 문의가 꽤 많이 들어오는 편이다. 2021.04.20 - [National Project/정부과제 기타] - 기업부설연구소/연구개발전담부서 재미있게도 R&D 과제와 연관지은 필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주로 세제 혜택을 목적으로 기업부설연구소의 설립이나 유지에 대해 묻는 것이 많았다. 포스팅 작성 당시에는, 기업부설연구소가 있는 곳을 대상으로 하는 정부과제를 위해서 연구소를 설립하는 것을 추천했다. 하지만 지금 시점에서 다시 정부 과제와 기업부설연구소를 관련지어 보면, R&D 과제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필수로 설립이 필요하다는 것이 내 의견이다. 이 내용을 그간 주로 문의가 들어왔던 기업부설연구소의 세제 혜택과 관련하여 함께 정리해보자. 1. R&D 과.. 2023.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