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구지원전문가2

간접비 관련 문의사항 정리 인건비, 재료비 등의 사용 목적이 뚜렷하게 정해진 직접비에 비해, 간접비를 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기업이 많은 것 같다. 앞서 간접비 계상 요건에 대해서 한번 정리했는데,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는 충분히 어려울 수 있다. 2021.10.26 - [National Project/과제관리 이야기] - 정부과제 예산 산정 - 간접비 최근 몇 개월간 받은 간접비 관련 문의를 정리했다. 1. 간접비는 어디에 써야 돼요?? - 간접비는 크게 인력 지원비,, 연구지원비, 성과활용지원에 관한 경비로 사용이 가능하다. 인력 지원비 :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연구개발 능률성과급 연구지원비 : 기관 공통 지원경비, 연구실 안전관리비, 연구윤리 활동비 성과활용 지원비 : 과학 문화 활동비, 지식재산권 출원 등록비, 기술창업 .. 2022. 4. 15.
연구지원 전문가 정부 과제를 시작하게 되면, 그 과제의 구성원들은 다양한 역할을 맡아 과제를 진행한다. 다만 관리기관이나 전문기관이 아닌, 실제로 과제를 진행하는 주관/참여/위탁 기관의 경우에는 그 구성이 단순하다. 과제 참여 연구원은 크게, 책임자와 실무자로 나뉘는 것이다. 물론 위치나 역할에 따라 책임자는 총괄 책임자와 위탁/참여기관 책임자로, 실무자는 실무담당자와 일반 연구원으로 나뉘기는 하지만 이 역시 단순한 구조이기는 마찬가지다. 그런데 이와는 별개로 재미있는 역할이 있다. 바로 '연구지원 전문가'라고 불리는 연구개발 지원 업무의 포지션이다. 연구지원 전문가는 말 그대로 연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도록 지원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가라고 볼 수 있다. 그림과 같이 산업부에서 정의한 것과 같이 연구지원전문가의 .. 202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