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과제 관련 문의 정리
-
장비/재료비 관련 문의사항 정리
제조 관련 연구개발에서 장비/재료비는 빠질 수 없는 세목이다. 가장 많은 비용이 책정되는 세목이지만, 사용 방법이 단순하여 문의가 많지 않은 세목이기도 하다. 최근에 받은 문의 중 장비/재료비에 대한 문의를 몇 가지 정리했다. 1. 예산안 작성 중 문의 1) 재료비를 어떻게 책정하는 게 좋을까요? 재료비를 너무 타이트하게 잡으면, 개발 중 비용이 부족한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앞서 R&D 과제 예산의 초안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한 적이 있다. 2023.08.24 - [National Project/과제관리 이야기] - R&D 과제 예산 초안 작성 방향 장비/재료비에 앞서 인건비, 간접비, 현물 등에 대해서 미리 정해놓기를 권장했다. 그리고 남은 금액을 가지고 실제 개발에 필요한 장비/재료비 ..
2023.10.05
-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의 계약서 관련 문의 정리
필자가 운영하는 블로그를 통해 많은 문의가 들어오는데,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에 관련한 것이 그중 하나다. 아마 앞선 포스팅 중에 관련 글이 있어서라도 생각된다. 구매조건부 과제는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과제로, 일종의 기술개발(R&D) 과제 중 하나다. 구매조건부 과제와 다른 과제와의 차이점은 개발기술을 수요처에 제안하여 ‘구매 동의서’ 또는 ‘구매 계약서’를 받아 지원한다는 것이다. 구매조건부와 관련해서 들어오는 문의는 대부분 이 계약서 혹은 동의서와 관련된 것이 많다. 필자가 받은 문의와 그에 대해 답변한 내용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했다. 1. 구매동의서만 받아와도 상관없나요? 과제 공고에는 구매동의서만 받아와도 신청이 되는 것으로 표현이 되어 있다. 물론 과제 신청이 가능은 하다. 하지만 분명..
2023.05.22
-
연구수당 관련 문의 정리
연구과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문의가 들어오는데, 연구수당과 관련해서는 다른 세목과는 그 분위기가 좀 다른 편이다. 연구수당은 과제 외 보너스라는 의식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좀 더 직설적인 질문이 많다. 최근 받았던 연구수당 관련 문의사항을 정리하고자 한다. 주로 보는 규정이 중기부, 산업부 과제의 것이므로 부처가 다른 곳의 과제라면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다른 부처의 규정도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이다. 1) 연구수당을 꼭 줘야 하나? 연구수당은 연구개발과제의 수행과 관련된 참여 연구원의 보상 및 장려금 지급을 위한 비용으로 직접비로 계상이 가능하다. 특히 산업부 과제의 경우 규정상 중소/중견 기업은 인건비의 10% 이상을 연구수당으로 산정해야 한다. 2) 연구수당은 얼마까지 줄 수 있나? 영리..
2022.07.20
-
간접비 관련 문의사항 정리
인건비, 재료비 등의 사용 목적이 뚜렷하게 정해진 직접비에 비해, 간접비를 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기업이 많은 것 같다. 앞서 간접비 계상 요건에 대해서 한번 정리했는데,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는 충분히 어려울 수 있다. 2021.10.26 - [National Project/과제관리 이야기] - 정부과제 예산 산정 - 간접비 최근 몇 개월간 받은 간접비 관련 문의를 정리했다. 1. 간접비는 어디에 써야 돼요?? - 간접비는 크게 인력 지원비,, 연구지원비, 성과활용지원에 관한 경비로 사용이 가능하다. 인력 지원비 :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연구개발 능률성과급 연구지원비 : 기관 공통 지원경비, 연구실 안전관리비, 연구윤리 활동비 성과활용 지원비 : 과학 문화 활동비, 지식재산권 출원 등록비, 기술창업 ..
2022.04.15
-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관련 문의 정리
글을 쓰거나 업체들과 대화하면서 예시로 많이 드는 과제라서 그런지, 구매조건부 과제에 대해서는 질문이 많이 들어오는 편이다. 문의에 대한 대부분의 답은 과제 공고나 규정을 통해 쉽게 찾을 수 있다. 물론 처음 정부과제를 접하는 사람들은 어려울 수도 있다. 아래에는 초심자가 답을 찾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되거나, 혹은 여러번 문의를 받았던 것들을 정리했다. 1. 구매동의서만 받아 오면 과제 신청이 되나요? 과제 공고에는 수요처로부터 ‘구매동의서’ 또는 ‘구매계약서’를 받아오면 과제 신청이 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되도록이면 구매동의서보다는 구매계약서를 받아 제출하도록 하자. 단순히 ‘개발 제품을 구매할 수도 있다’ 정도의 정보만 적힌 구매동의서와는 달리 구매계약서에는 납기일자, 품목 및 사양, 구매 금액 등..
2022.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