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접비2

간접비 관련 문의사항 정리 인건비, 재료비 등의 사용 목적이 뚜렷하게 정해진 직접비에 비해, 간접비를 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기업이 많은 것 같다. 앞서 간접비 계상 요건에 대해서 한번 정리했는데, 처음 접하는 입장에서는 충분히 어려울 수 있다. 2021.10.26 - [National Project/과제관리 이야기] - 정부과제 예산 산정 - 간접비 최근 몇 개월간 받은 간접비 관련 문의를 정리했다. 1. 간접비는 어디에 써야 돼요?? - 간접비는 크게 인력 지원비,, 연구지원비, 성과활용지원에 관한 경비로 사용이 가능하다. 인력 지원비 : 연구지원인력 인건비, 연구개발 능률성과급 연구지원비 : 기관 공통 지원경비, 연구실 안전관리비, 연구윤리 활동비 성과활용 지원비 : 과학 문화 활동비, 지식재산권 출원 등록비, 기술창업 .. 2022. 4. 15.
정부과제 예산 산정 - 간접비 처음 과제를 계획하면서 과제 규정에 맞춰 예산을 산정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직관적으로 예상이 가능한 직접비에 비해, 간접비는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기업이 아닌 기관이나, 특히 산학협력단을 끼고 있는 학교의 경우 따로 생각할 필요 없이 간접비는 산학협력단 혹은 연구지원부서에 제출하기만 하면 된다. 과제 진행 부서가 속해있는 원 기관의 운영지원비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업에서는 간접비를 따로 사용하기에는 애매한 항목들이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과제의 경우, 간접비의 사용 항목은 인력지원비, 연구지원비, 성과활용지원비 등이 있는데, 일부 항목의 경우 설명이 직접비의 항목들과 겹쳐 보이기도 한다. 이번에는 간접비 중 기업에서 산정할만한 항목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고자 .. 2021. 10. 26.